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MVVM
- swift dfs
- ac swift 풀이
- 백준 2xn 타일링
- swift codility
- iOS Charts
- swift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풀이
- ac 구현 풀이
- 백준 2xn 타일링 풀이
- ios
- swift algorithm
- ac 투포인터
- swift ac
- swift 2xn 타일링 백준
- swift gRPC
- swift 백준 9095
- swift
- 1 2 3 더하기 풀이
- rxswift
- swift 2xn 타일링 풀이
- swift 9095 풀이
- swift 2xn 타일링
- 123 더하기 풀이
- swift 프로그래머스
- swift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
-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swift
-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투포인터
- swift ac 문제풀이
- swift 알고리즘
- swift ac 풀이
- Today
- Total
목록
728x90
swift codility
728x90
반응형
(4)
boraBong
💬 문제 https://app.codility.com/programmers/lessons/4-counting_elements/max_counters/ MaxCounters coding task - Learn to Code - Codility Calculate the values of counters after applying all alternating operations: increase counter by 1; set value of all counters to current maximum. app.codility.com 💬 Idea maxCounter로 바꾸는 시점에서 Array(repeating:, count:) 메서드를 사용했더니 시간 초과가 발생했다. 해결 로직 increase 로직: maxC..
💬 문제 https://app.codility.com/programmers/lessons/4-counting_elements/frog_river_one/ FrogRiverOne coding task - Learn to Code - Codility Find the earliest time when a frog can jump to the other side of a river. app.codility.com 💬 Idea 처음에는 X 크기를 가진 배열을 false로 모두 초기화하여 생성한 뒤, 반복문을 돌며 해당 인덱스의 값을 true로 바꾼 후 조건문을 통해 해당 배열이 모두 true인지 검사해주는 작업을 거쳤었다. 그러나 이렇게 구현하니 반복문 안에 O(N)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 작업이 들어있어 시간 초..
💬 문제 https://app.codility.com/programmers/trainings/1/flood_depth/ 💬 Idea 물 웅덩이는 maxWall이 더 큰 수로 갱신될 때마다 새로운 웅덩이가 생기므로 큰 웅덩이가 갱신될 때 가장 작은 depth를 100000000로 초기화해주었다. 이후 작은 값이 나올 때마다 minLast를 한 웅덩이 내의 가장 작은 값으로 갱신해주었다. 그리고 큰 웅덩이 내에서 작은 웅덩이가 생길 때마다 maxDepth의 값과 비교하여 큰 값을 저장하도록 했다. 💬 풀이 public func solution(_ A : inout [Int]) -> Int { var maxWall = A[0] var last = A[0] var wall = A[0] var minLast = ..
💬 문제 https://app.codility.com/programmers/lessons/5-prefix_sums/genomic_range_query/ 처음엔 굉장히 간단한 문제라 생각했지만,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해 굉장히 애를 썼다. O(N^2)의 효율성을 → O(N + M)으로 높이기 위해 구간합을 사용해주었다. 💬 Idea a, c, g, t 각각의 배열을 만들어 (t는 없어도 됨) 알파벳이 나온 구간에는 이전 값 + 1을 해주어 저장해준다. 이후 P를 돌면서 (P) 에서 (Q + 1) 까지의 차가 0 이상일 때 a,c,g,t 중 조건에 해당하는 값을 ans에 append한다. Q + 1 까지인이유: 이전 인덱스와 비교하여 해당 구간에서 알파벳이 등장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배열의 인덱스를 +..